✅ KC 인증 중 전자파 인증(EMC/KCRF)이란 무엇인가요?

오늘은 전자제품 판매 시 꼭 필요한 KC 전자파 인증(KCRF 또는 전자파 적합성평가)에 대해 안내해드릴게요.

KC 인증은 크게 두 가지 인증이 있고, 그중 전자파 인증은 전자기기 제품이 전자파 방출(EMI)전자파 내성(EMS)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이는 전파법 제58조 2호와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 제3조 2호에 근거한 중요한 법적 요건입니다 
간단히 말해, 전자파가 다른 기기에 영향을 주거나 외부 전자파에 의해 제품이 오작동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인증이에요.


KC전자파적합성평가 개요

국내외에서 생산되어 유통되는 전자 제품 중 회로나 모터가 들어간 제품은 적합성평가를 받아야합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제품들로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장애를 줄 우려가 있거나, 중대한 전자파장애를 주거나 전자파로부터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 받을 정도의 영향을 받는 제품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분설명예시관련법령
적합인증: 적합인증은 무선 기능이 들어있는 제품들이 받는 인증입니다.

적합등록: 무선기능이 없는 대부분의 전자제품들은 적합등록 대상에 해당됩니다.

잠정인증: 잠정인증은 평가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그 밖의 사유로 평가가 곤란한 제품들의 인증입니다. 명확한 기준이 없어 국내외 표준, 규격 및 기술기준 등에 따라 평가를 한 후 조건을 붙여 수입, 판매를 허용하는 인증방식입니다


⚙️ 전자파 인증 시험 항목은 어떻게 구성되나요?

전자파 시험은 크게 EMI(전자파장해)와 EMS(전자파내성)로 구분되며, 대표 시험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방출 시험)

  • 전도성 방사(CE): 전원선을 통한 전자파 방출 측정
  • 방사성 방출(RE): 공간으로 퍼지는 전자파 측정

EMS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내성 시험)

  • 정전기 방전 내성(ESD)
  • 전자파 방사 내성(RS)
  • 빠른 과도 현상(EFT/Burst)
  • 서지 내성(Surge)
  • 전자파 전도 내성(CS)
  • 전원주파수 자기장(MF)
  • 전압강하 및 순간정전 내성(Dips/Interruptions)

시험 항목은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통신기기, 가정용 전자기기, 의료기기 등 다양한 표준 규격이 적용됩니다

(예: CISPR, EN, KS C 등)


🏭 주요 시험 기관 및 인증 절차는?

전자파 적합성 평가는 인증기관 또는 시험기관에서 완료해야 하며, 대표적인 곳들이 있습니다:

✅ 한국기술연구소 (우체국 연구원 계열)

  • ‘전자파적합성센터’를 통해 전자파 인증 시험 진행
  • 인증기관으로서 접수와 평가까지 수행 

✅ 국립전파연구원

  • 전자파 인증 등록 및 조회 시스템 운영
  • 인증 연월일을 기준으로 5년 이상 조회 시 추가 조건 필요

✅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SK Tech 등

  • EMC/EMI 성능평가 시험 등 다양한 제품 시험 서비스 제공


🔍 인증 준비사항

구 분구비서류관련법령

 

더 궁금하시거나, 인증 관련 도움을 받고 시다면 댓글 남겨주십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