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지원알리미 입니다! 오늘은 KC 위생안전인증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위생안전인증이란?
위생안전인증은 수도법 14조에 따라 취수,저수, 도수 시설을 제외한 수도시설 중 물과 접촉하는 수도용 자재와 제품이 위생안전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법정의무 인증 제도입니다.
# 위생안전인증 대상
일단 업체분들이 해당 인증을 받아야하는 대상인증 알고 계셔야겠죠?
첨부된 위생안전기준 인증 대상 분류체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대상이 169가지 품목이 있어 다설명은 못드립니다.
아래링크를 확인하시면 169가지의 품목을 모두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대략적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위생안전인증 절차
위생안전인증 절차는 서류검토, 공장심사, 제품시험 및 인증심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인증 신청은 위생안전기준인증등록정보망에서 할 수 있습니다. : 위생안전기준인증(KC)

# 인증 신청 수수료 및 제출서류

# 위생안전인증 업무도
토탈 3개월정도 걸린다고 안내를 하지만 요즘 위생안전인증에서 일이 밀려있어
5~6개월은 소요된다고 생각해주셔야합니다. !!

그럼 지금까지 간략하게 위생안전인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더 궁금한게 있다면 부담없이 댓글 남겨주세요!
'인증받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전설비 물품 제조 구매계약에서 하도급 승인 거부 가능할까? (0) | 2025.02.25 |
---|---|
📢 나라장터 쇼핑몰에서 물품 구입 시 하자보수보증보험증권 받는 방법! (0) | 2025.02.19 |
성능인증 공장심사와 성능검사는 어떻게 진행될까? (4) | 2025.02.14 |
성능인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14 |
성공 사례로 알아보는 벤처기업! (0) | 2025.02.11 |